티스토리 뷰

연말정산이 다가오면 세액공제 혜택에 대한 꿀팁이 궁금할 것입니다. 연금저축 과 IRP 세액공제 는 세금을 최대 16.5%까지 깎아주는 효과를 제공합니다. 이 두 가지의 차이와 혜택을 살펴보겠습니다.

 

국세청 연금소득 세율 확인하기

 

연금저축과 IRP 세액공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는 소득세를 줄이는 방법으로, 소득공제는 소득 발생 시 들어가는 비용을 고려해 세금을 줄이는 것이며, 세액공제 는 이미 계산된 세금에서 한 번 더 빼주는 것입니다. 연금저축 과 IRP는 이와 같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이 둘은 소득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감면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과 IRP 차이점

연금저축 은 환급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세액공제 를 받은 금액에서도 기타 소득세를 뺄 수 있습니다. 반면 IRP는 정해진 사유에 해당될 경우에만 해지가 가능하며, 돈을 뽑는 경우에도 세액공제 를 받은 금액에 대해 기타 소득세를 빼야 합니다. 또한 IRP는 최소 30%는 안전자산에 투자해야 합니다.

 

연금저축, IRP 계좌 개설 방법

연금저축 계좌는 증권사 앱을 통해 간편하게 개설할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 투자는 최대 한도까지 입금하면 되며, ETF나 펀드를 투자할 수 있습니다. IRP 계좌 역시 신청 후 다음 날부터 입금 및 투자가 가능하며, 중요한 점은 휴일에는 개설이 불가능하므로 평일에 개설해야 합니다.

 

연금저축, IRP 연말정산 세액공제 납입기간

연금저축 은 12월 31일까지 입금만 하면 세액공제 를 받을 수 있지만, IRP는 상품을 매수해야 안전하게 세액공제 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IRP의 경우에는 12월 29일까지 상품을 매수해두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연금저축 과 IRP는 목돈이 필요한 경우에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중요한 제도입니다. 연금저축 과 IRP의 세액공제 혜택 및 차이점을 살펴보았습니다. 세액공제 혜택을 받으며 더 나은 노후를 준비하기 위해 이를 적절히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국세청 연금소득 세율 확인하기

 

항목

내용

세액공제 한도

연금저축과 IRP의 1인당 연간 총 납입한도는 1800만 원입니다. 이 중에서 IRP는 세액공제한도가 900만 원, 연금저축은 600만 원입니다. 연금저축과 IRP를 합쳐서 세액공제한도는 연금저축과 IRP를 합쳐서 900만 원입니다. 2023년부터 200만 원이 늘어났습니다.

세액공제율

연 소득이 5500만 원 이하인 근로자는 14.6%의 공제율을 받을 수 있으며, 연 소득이 5500만 원을 초과하는 근로자는 13.2%의 공제율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받는 방법 (입금기한)

최대 납입 한도 안에서 12월 31일 전까지 내가 원하는 만큼만 납입해두면 됩니다. IRP는 영업일에만 납입을 할 수 있으며, 연금저축은 12월 31일까지 넣어야 합니다.

소득공제? 세액공제?

소득공제는 소득을 줄여서 세율을 낮추는 것이고, 세액공제는 산출된 세금에서 빼주는 것입니다. IRP와 연금저축은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합니다.

연말정산 세액공제 납입기간

연금저축은 입금만 인정되면 펀드, ETF를 사지 않아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 2023년을 넘기지 않으면 되지만, IRP의 경우 현금만 입금하면 인정이 되지 않기 때문에 12월 29일에는 상품을 매수해야 안전하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세액 공제액

총 급여 5천 5백만 원 이하일 경우 16.5%의 세액 공제, 이상일 경우 13.2%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액은 연간 근로소득에 따라 달라지며, 연금 저축을 한 달에 10만 원씩 총 120 만원을 납입했다면 198,000원의 세금을 깍아줍니다.

중도인출

연금 저축은 계좌에서 일부를 중도에 인출할 수 있지만, 세액공제를 받은 금액에 대해서는 기타소득세(16.5%)가 부과됩니다. IRP는 중도인출이 불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계좌를 해지해야 합니다. 일부 예외 상황에서는 중도인출이 가능합니다.

연금소득세

연금 저축과 IRP는 연금을 수령할 때 세금이 부과됩니다. 수령 나이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70세 미만일 경우 5.5%, 80세 미만일 경우 4.4%, 80세 이상일 경우 3.3%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연금 예상 수령액 계산하기

국민은행 퇴직연금 사이트

우리은행 퇴직연금 사이트

IBK 기업은행 퇴직연금 사이트

신한은행 퇴직연금 사이트

퇴직급여 수령액 계산하기

국세청 국세상담센터 바로가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