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식품업계나 유흥업소에서 종사하려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보건증 병원 발급 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보건증, 현재는 '건강진단결과서'라고도 불리며, 여러분의 건강 상태를 증명해주는 중요한 문서입니다. 특히 외식업종이나 유흥업소에서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니, 이 글을 통해 보건증 병원 발급 에 대한 모든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식품위생법 제40조

 

보건증이란?

보건증은 식품업계나 유흥업소에서 근무할 때 건강에 이상이 없음을 증명하기 위해 발급받는 진단서입니다. 현재는 '건강진단결과서'라는 명칭으로 사용되며, 일반적인 건강 진단서와는 달리 특정 검사 항목을 포함합니다. 이 문서는 법적으로 식품위생법 제40조 에 근거해 발급되며, 각 업종별로 요구되는 검사 항목이 다릅니다.

 

식품위생법 제40조

 

검사항목

  • 일반 요식업 종사자 : 결핵, 전염성 피부질환, 장티푸스 검사
  • 유흥업소 종사자 : 결핵, 전염성 피부질환, 장티푸스, 성병, 에이즈 검사

 

유효기간

  • 식품위생업 종사자 : 1년
  • 학교급식 종사자 : 6개월
  • 유흥업소, 청소년 유해업소, 안마 시술소 : 3개월

 

이처럼 유효기간이 업종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업종에 맞는 유효기간을 기억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건증 병원 발급 방법

준비물 및 절차

보건증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우선,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을 준비해야 하며, 대리인이 신청하는 경우에는 위임장, 위임인 신분증 사본, 대리인 신분증도 필요합니다. 청소년의 경우에는 학생증과 주민등록등본을 준비하면 됩니다.

발급받기 위해서는 보건소나 보건증 발급이 가능한 병원에 방문하여 신청서를 작성하고 검사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검사 항목으로는 폐결핵 검사, 전염성 피부질환 검사, 장티푸스 검사가 포함되며, 검사 후 결과를 토대로 보건증이 발급됩니다. 일반적으로 검사와 발급까지는 5~7일이 소요됩니다.

 

보건증 발급 비용

  • 보건소 : 3,000원
  • 보건증 발급 병원 : 15,000원 ~ 30,000원 (병원마다 다름)

 

보건소에서 발급받는 것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긴 하지만, 민간 병원에서도 발급이 가능하니 본인의 상황에 맞는 기관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보건증 발급 병원 찾기

보건증 발급 병원을 찾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G-health 공공보건포털 이용하기 : G-health 공공보건포털에서 지역과 의료기관을 선택하여 검색할 수 있습니다.
  2. 굿닥 : 굿닥에서 내과를 검색하여 보건증 발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병원을 직접 방문하여 발급 가능 여부를 문의하거나, 보건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검사 절차 및 소요 시간

  • 피부질환 검사 : 의사가 손을 육안으로 검사하며 약 3~5분 소요됩니다.
  • 장티푸스 검사 : 면봉을 이용해 항문에서 검체를 채취하며, 생리 중에도 검사가 가능합니다.
  • 결핵 검사 : 흉부 엑스레이 촬영이 필요하며, 후크가 있는 속옷 착용 시에는 환복해야 합니다.

 

검사 과정 자체는 20~30분 정도 소요되며, 검사 후에는 발급까지 5~7일이 걸립니다.

보건증 병원 발급 에 대해 알아보니, 준비물부터 검사 절차, 발급 비용까지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보건증은 건강 상태를 증명하는 중요한 문서로, 발급받기 위해서는 정해진 절차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유효기간도 업종별로 다르니, 자신의 상황에 맞게 준비하고 발급받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상태를 증명하고, 안전하게 근무하기 위해 꼭 필요한 보건증, 이제 걱정 없이 준비해 보세요!

 

서울시민 건강포털

댓글